제임스 아담스 (安義窩, James Edward Adams/ James Edward Ned, 이하 ‘안의와’)
1867.5.2.-1929.6.25. (한국선교기간: 1895.5.29.-1923.7.13.)
1867.5.2. 미국 인디애나 주, 디케이터 카운티, 그린즈버그 시티, 맥코이 커뮤니티에서 출생(McCoy, Greensburg, Decatur, Indiana).
1885-1888, 워시번대학(Washburn College) 졸업 (이학사, Bachelor of Science).1
1888-1889.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에서 고등 수학(Higher Mathematics) 과정 공부.
1889-1891. 워시번 대학에서 수학 강사(Instructor of Mathematics) 재직.
1891-1894, 맥코믹 신학교(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졸업 (문학사, Bachelor of Arts).2
1892.10.27. 미국 신학교 간 선교 연합회(The American Inter-Seminary Missionary Alliance) 상임 의장(1년 임기).
1893.말 탁넬리(Nellie Grant Dick. 1866.9.15.-1909.10.31.)와 결혼.
1894-1895. 미국 신학교 간 선교 연합회(The American Inter-Seminary Missionary Alliance) 순회 서기 역임.
1894.12.27. 미국 북장로교 토피카 노회에서 목사 안수.3
1895.2.6. 안두화[安斗華](Edward A. Adams, 1895.2.6.-1969.9. 이하 ‘안두화’) 출생(켄자스 토피카, 첫째 아들)
1895.4. 초 한국 선교사 파송.
1895.4.29. 샌프란시스코 항 출발 -> 하와이 -> 요코하마 -> 고베 -> 나가사키 -> 쓰시마 -> 부산 도착
1895.5.29.-1898.11. 한국 선교사(부산).
1895.5.29.-1897.2.28. 부산에서 언어 및 문화 습득(부산선교지부에서 10마일[대략 16km] 떨어진 동래에서 공부).
1895.3~1896.12 배위량[裵偉良](William M. Baird, 1862.6.16.-1931.11.29. 이하 ‘배위량’) 선교사의 ‘한문서당’에서 산수에 관한 기초 지식 가르침.
1896.3 배위량과 함께 10일간 대구 여행(대구 선교지부를 위해 구매한 집을 인수하기 위해_금화 100불[한화 약 13,200,000원]에 구매/ 정완식 소유 땅 420평, 초가 다섯 채와 와가 네 채를 매입).
1896.6~7 금요 성경반 개설, 복음전도 사역 시작.
1896.11.10.~12.27. 대구 여행(배위량이 서울로 발령 나면서 후임자로서 대구의 상황을 보기 위한 방문, 배위량이 구매한 집수리_은화 600불[한화 약 12,600,000원]).
1896.12.20.경 약령시 방문(책 600-700권 판매).
1897-1923. 한국 선교사(대구).
1897.3.1.경 안의와만 대구로 이사(대구에서 6주간 머문 후 2주간 부산 방문). 부산에 있던 안두화 안염 발병(1896년 겨울 부산에서 안염 유행).
1897.4.7.~5.29 안의와 가족 대구 여행, 대구 선교지부 건물 화재사건(금화 400불상당의 손해발생, 보험처리).
1897.9.29. 부산 여행(가족들이 대구로 이사 오기 위한).
1897.11.1. 대구 이사(안의와 가족 모두, 배로 11일의 이동시간 소요 됨[육로는 3일]) 및 대구제일교회 조직(선교사 부부 6명[안의와 가족 3명, 장인차 가족 2명, 보모 체이스 양], 한국인 조사 1명[김재수]).
1897.11.1. – 1921. 대구제일교회 목사 위임(별세로 사임)
1897.11.19. 대구 관찰사 사무실 방문(현지 관료들을 설득하고 그들의 호의를 얻기 위한).
1898.1.14. 안변암[安邊巖](Benjamin N. Adams, 1898.1.14.-1994.1.23, 이하 ‘안변암’) 출생(대구, 둘째 아들).
1898.1.21.~2.20 부산 및 그 주변 지역 여행(부산에서 성경공부 인도, 김해 등).
1898.1. 말. 부산 및 주변 지역에서 전도집회 3일간 개최(원두우[元杜尤, 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 어비신[漁丕信, Oliver R. Avison, 1860-1956], 안의와).
1898.4.1.~5.11. 경상도 북부 지역 순회 여행(경주, 형해[평해], 강원도의 경계)/ 2,500권의 책과 소책자 판매.
1898.4. 영천 자천교회(권헌중 선생이 안의와선교사를 만나 복음을 듣게 된 날!. 교회 설립은 1903.4.1).
1898.5.12. 탁넬리(안의와 부인) 우울증(출산 및 기타 낯선 환경으로 인한).
1898.6. 탁넬리 우울증에서 경미한 신경쇠약으로 발전, 파계사에서 한 달간 요양.
1898.7.~10. 부산 및 김해 방문(여름을 보내기 위해서), 성경공부 과정(13일) 완료.
1898.10.1. 미국약방 설립.
1898.11. 부산 사역 사임 및 대구 복귀(대구지역 순회 사역 및 사랑방 사역, 탁넬리 병간호).
1899.1.말~2.초 김해 방문(2주간).
1899.2.~5. 대구 선교부내 체이스 양이 여성들을 위한 사역을 시작.
1899.4.11.경~5.11.경 평양에서 온 현지인 두 형제(정익로, 안봉주)와 함께 1달간 캠페인 개최(거리 전도 집회)
1899.4.말 탁넬리 미국(켄자스 토피카의 친구 집_켄자스 주 토피카 시 먼로우가 503번지) 복귀(건강 악화)
1899.5.1. 부해리[傅海利](Henry Munro Bruen, 1874-1959) 선교사 대구선교부 임명 및 대구 선교지부 승격.
1899. 여름 한달 간 여름 휴가(북경 선교부 방문).
1899.11. 약령시 내 설교 장소 확보(거리에서 가장 좋은 방)후 책 판매와 전도 집회 개회.
1899.11.2. 도로시 아담스(Dorothy D. Adams, 1899.11.2.-1996.12.3. 이하 ‘도로시 아담스’) 출생(켄자스 터피카, 셋째 딸).
1899.11.23. 사보담[謝普淡](R.H. Sidebotham, 1874-1908), 에피 엘든 브라이스(Effie Alden Bryce, 1876-1942) 선교사 부부 대구 도착.
1899.11.말 약령시 내 설교 장소(거리에서 가장 좋은 방_ 책 판매와 전도 집회를 개회 했던 장소) 화재.
1899.12.초~12.21 시골 그룹 방문.
1899.12.24. 미국약방을 제중원으로 개원(재단법인 미국예수교 북장로파 대한선교회 유지재단 지원).
1900-1904. 대구선교지부장 역임.
1900. 야소교 대남소학교 설립(처음 재학생은 10-15명 -> 1904년 28명 – 1905년 47명 -> 1906년 대구내 초등학교는 49개, 재학생은 433명).
1901.1.15 남자 성경반 시작(처음 15명 참가 -> 1901년 말 14명 -> 1903년 30명 -> 1904년 200명 -> 1905년 400명 -> 1908년 900명).
1901. 송서교회(1899.3. 현, 풍각제일교회_개칭 1976.3.19.) 설립.
1902. 부인 성경반 시작 및 우매교회(1898.4.5.설립./ 현, 사월교회), 경주읍 노동교회(1902.5.10. 현, 경주제일교회_개칭1947.8.6.) 설립.
1903. 남자 조사반 시작 -> 전도사 훈련반으로 변경 -> 남자성경학원으로 변경 및 송림교회() 설립.
1904. 봉회교회(1901.5.10. 현, 진량제일교회_개칭1980.10.10) 설립.
1904.5. (논저) “한국기독교회(The Korean Christian Church)”.
1905. 경산 금곡교회(1905 설립), 경산 전지교회(X), 동호교회(1905.4.3. 설립./ 현, 반야월교회_개칭1947.12.18.), 고령 개포교회(X), 영천 평천교회(1905 설립), 흥해교회(X) 설립.
1905.5. (논저) 『A Hunt for Wild Dogs』 & 『The Tiger that laughed』.
1906. 영천 명주교회(1906 설립), 영천 동도교회(1906. 설립), 영천 신녕교회(1906 설립), 영천 우천교회(1906 설립.), 성내동 예배당(1904.4.10.설립./ 현, 영천제일교회_개칭1956.) 설립.
1906.5.1.-1910. 계성중학교 설립(대구 선교지부 건물에서 초기 27명의 학생으로 시작 -> 1908.3.30. 계성학교 및 기숙사 신축 준공) 및 초대교장 역임.
1907. 조암교회(1907.12.1. 설립./ 현, 월배교회_) 설립.
1907.8.6. 안두조[安斗照](George J. Adams, 1907.8.6.-1985.12.) 출생(대구, 넷째 아들).
1909.10.31. 탁넬리 다섯째 임신 중 유산 후 유산 후유증으로 사망.
1909. 하양교회(1909.5.9.설립.), 경산 당곡교회(1909.4 분립.), 삼북동교회(1909.9.16. 설립./ 현, 경산교회_개칭1978.9.5.), 자인교회(1898.4.15. 설립. 자인교회약사에 따른 설립일/ 경북교회사에 따르면 1909년), 침산교회(1909.7.31.설립.), 신당교회(1908.9.2.설립./ 현, 성서제일교회_개칭1981.1.1).
1910. 범어교회(1906.9.9. 분립.), 설화교회(1910.4.10. 분립).
1911.6. 계성부속 사범학 개설
1912. 미국 귀국(안식년)
1912.6 맥코믹 신학교에서 설교 및 강연, 워시번 대학에서 명예 목회학 박사 학위(Honorary Doctor of Divinity) 취득
1912.9.4. 캐롤라인 밥콕(Caroline McNeeley Babcock Adams)과 재혼.
1912. 달남교회(동산교회 제2교회)(1912.5.21. 현, 서문교회_개칭1947.2.16.) 설립.
1912.12.19.-1913.9.6. 경상도 예수교 장로교회 노회 회장 역임.
1913. 한국 복귀4, 대구성경학교 개교(남자 성경반, 부인반 통합).5
1914.6.19. 메리 엘리자베스(Mary Elizabeth) 출생(평양, 다섯째 딸).
1914. 사동교회() 설립.
1915. (논저) “한국 기독교 선교 교육 연합회 평의원회(Senate of the Educational Federation of Christian Missions in Korea)”
1915-1919. 계성중학교 교장 역임.
1916-1919. 한국 장로교 교육 위원(Educational Committee).
1913-1919. 한국 장로교 집행위원장(Executive Committee Chairman).
1916-1922. 한국 장로교 교육 상원(Educational Senate).
1916-1919. 서울 세브란스병원 관리위원(Board of Control).
1913-1917. 한국 장로교 배분위원(Apportionment Committee).
1916-?. 한국 장로교 평양 관리위원(Board of Control).
1917-1920. 평양 기독연합대학 이사(Board of Directors).
1917-1922. 한국 장로교 성경 위원(Bible Committee).
1917-. 한국 장로교 부산 재산 위원(Property Committee).
1917.2.19. 캐롤라인 밥콕과 3명의 자녀 미국으로 출국.
1918. 한국 선교사 사임(건강악화).
1919. 미국으로 귀국.
1920. 토피카 장로교회 총회 총대 추대.
1920.9. 한국 대구 방문, 독립선교사로 활동.
1921. 건강악화로 한국 선교사 은퇴 후 협력 선교사로 활동.
1922. 전재산과 후원금으로 ‘아담스 복음전도재단(Adams Evangelical Fund)’ 설립(안두화, 안두조에 의해 시행).
1924-1929 미국생활.
1924.12.5. 미국 영구 귀국(건강악화).
1929.6.25. 캘리포니아 리버모어에서 사망(62세).
미주
- 워시번 대학(Washburn University)의 ‘University Archivist’에 따르면 ‘이학사(Bachelor of Science)’를 수여 받았다. (2023.1.23. 메일 회신). ↩︎
- 맥코믹 신학교(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의 JKM Library 임시관장에 따르면 ‘문학사(Bachelor of Arts)’를 수여받았음(2023.1.25. 메일 회신).; 그리고, 안의와가 맥코믹 신학교를 줄업했을 때, 문학사 학위를 수여받은 것과 관련해서 맥코믹 신학교의 역사신학 교수인 Ken Sawyer는 자신이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 “맥코믹 신학교는 1975년 석사 수준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시작했다”라고 밝히고 있다. https://www.kennethsawyer.org/mccormickseminary (2022.10.16. 접속). ↩︎
- 안의와의 목사 안수년도에 대해 두가지 기록이 있다. 먼저는 “안의와가 1983.12.16 에 목사 안수 받았음”(Robinson, E. S. D.D., “The Presbyterian Ministerial Directory”, Ohio, The Ministerial Directory Company, 1898, p.142)이라는 기록이고, 다음으로는 “아담스가 1894.12.27 에 목사 안수 받았음”(“General Catalogue of the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Chicago,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1912. p.103)이라는 기록이다. ↩︎
- 안의와의 행적으로 볼 때, 안의와는 1913년 한국으로 복귀하지 않고 그보다 앞선 1912년 11월 경에 입국한 것으로 보인다. ↩︎
- 현, 대신대학교의 전신. (경북노회 105년사) ↩︎
Enkristo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